열린공간

    관련법령

    법률 지하수법 (법률 제13383호, 2015.6.22., 타법개정)
    2016.08.02 17:01
    • 작성자 관리자
    • 조회 66
    지하수법
    [시행 2015.12.23.] [법률 제13383, 2015.6.22., 타법개정]
     
     
    개정이유
    [제정]
    ◇ 제정이유
    세계적인 수산물 수요증대국제 교역규모 증가 등 전 세계적으로 성장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평가되는 수산업 분야에서 그간 우리나라는 다양한 생명자원과 세계적 생산환경의 강점을 보유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위주의 정책을 지속해 왔음새 정부 해양수산부의 신설에 따라 변화된 미래 수산업의 근간을 재설정하고 수산업수산인의 정의를 신설하며 수산분야 통계 체계를 구축하는 등 향후 세계 수산업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수산업 관련 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수산업의 발전 및 지원 방안을 제도화하려는 것임.
     
    ◇ 주요내용
    수산업을 어업어획물운반업수산물가공업수산물유통업 및 이와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함(3조제1).
     
    해양수산부장관은 수산업어촌의 발전 목표와 정책의 기본방향 등이 포함된 수산업어촌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함(7).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수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수산물의 안전성 관리 및 품질관리 등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도록 함(12조부터 제14조까지).
     
    해양수산부장관은 수산업 발전 기반을 조성하고 수산업과 관련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후계수산업경영인전업수산인여성수산인벤처수산업귀어업인 등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도록 함(15조부터 제22조까지).
     
    수산업 생산기반의 정비를 위하여 친환경수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어업경영체의 경영안정과 구조개선에 대한 지원을 하며 어업경영체의 경영정보를 등록하고 활용하는 정책을 세우고 시행하도록 함(23조부터 제27조까지).
     
    해양수산부장관은 수산업 및 어촌 발전을 위해 필요한 통계조사를 실시할 수 있고통계조사 결과와 업종별수역별 조업상황어획실적 등의 조사결과를 수산데이터베이스 구축하여 유지관리하도록 함(32).
     
    수산자원어장의 지속적 이용과 보전어촌의 자연환경 및 경관 등의 보전전통 어로 문화의 계승 등 수산업어촌의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정책과 어촌주민의 소득 증대 등 어촌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세우고 시행하도록 함(34조부터 제41조까지).
     
    통일에 대비하여 남북한의 수산업어촌이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하는 데에 필요한 정책 및 수산업어촌분야의 국제협력과 해외투자지원을 위한 정책 등을 세우고 시행하도록 함(42조부터 제45조까지).
     
    수산업 경영의 지원수산물 유통구조개선 및 가격안정경쟁력 있는 수산업 육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산발전기금을 설치하도록 함(46조부터 제50조까지).
    <법제처 제공>
     

    대표자 : 김정근

    사업자등록번호 : 107-82-05791

    TEL : 02-2637-1234
    FAX : 02-2631-8767

    주소 : 본관 (07201)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28사길 29



    제1별관 (07201)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28사길 21
    제2별관 (07201)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28아길 10
    Copyright (C) 2025 KEWI. All right reserved.